호주는 풀타임, 파트타임, 일용직 및 임시직, 견습생 등 다양한 형태의 고용 환경을 가 지고 있다. 정규직으로 고용이 되면 안정적인 직장을 기대할 수 있으나 계약직의 경우...
취업규칙은 사용자가 사업장에 있어서 근로자가 준수하여야 할 규율과 임금, 근로시 간, 기타 근로조건에 관한 구체적 사항을 정한 규칙이다. 상시 10인 이상의 근로자를사용하는 사용자는 소정의 취업규칙을...
호주의 공정근로위원회(Fair Work Commission)는 국가 최저 임금을 검토하고 설 정하는 일을 담당한다. 호주공정근로위원회의 최저임금 조사원단(Minimum Wage Panel)은 사실상의 최저임금 결정권을 행사하고, 최저임금을 책정하기 위한 연구...
2009년 제정 및 2017년 개정된 호주의 노동관련 기본법(Fair Work Act 2017)에는 근로에 관한 최소한의 조건과 기준이 되는 국가고용기준(National Employment Standards, NES)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기업...
호주는 연 4주(근무일 기준 20일)의 연례 휴가, 병가(Sick leave, 근무 1차 년도에 는 년 5일, 그 이후부터는 년 12일), 10년 이상 근무자에 대한 13주의 장기...
고용 종결은 잉여 인력 발생, 사임, 해고 등 많은 사유로 발생한다. 고용인은 고용 관 계 종결 시 모든 정산되지 않은 고용 권리를 확인하고 요청할 수...
퇴직 연금(Superannuation)은 고용주 및 피고용자가 각각 일정액의 금액을 적립해 피고용자 퇴직 시 지급되며, 모든 고용주는 피고용인 급여의 9.5% 이상 출연을 의무 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호주에서는 많은 외국인들이 거주하고 근무하고 있는데, 소위 워홀러들을 위한 워킹 홀리데이 서포팅 센터(www.woholer.org.au)나 근로자로서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신고 및 구제를 요청할 수 있는 공정...
노동분쟁담당기구및역할소개 호주는영국식의강력한산업별노조가결성되어있어노사분규가잦고규모가큰것 이 특징으로, 호주의 노동 생산성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특 히 광산, 항만, 철도, 항공은 물론 중, 고교 등...
호주 정부는 2008년 3월 27일 신 노동법(Fair Work Act 2009)을 공표함으로써 호주 근로자의 임금체계와 근로 조건이 대폭 개선되었다. 특히 출산 휴가 등 복지에 대한 부분은...